이분 탐색 (18) 썸네일형 리스트형 [Python] 2805번 나무 자르기 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2805 2805번: 나무 자르기 첫째 줄에 나무의 수 N과 상근이가 집으로 가져가려고 하는 나무의 길이 M이 주어진다. (1 ≤ N ≤ 1,000,000, 1 ≤ M ≤ 2,000,000,000) 둘째 줄에는 나무의 높이가 주어진다. 나무의 높이의 합은 항상 M보 www.acmicpc.net 22/08/28 보자마자 날먹 문제라고 생각했다. 이 문제는 그제 풀었던 1654번 랜선 자르기 문제와 거의 동일한 문제였기 때문이다. 단지 약간의 조건만 달랐다. 문제 접근 방법: 랜선 자르기 문제와 동일한데, 나무를 일정 간격으로 계속 자르는 게 아니라, 일정 높이를 두고 일정 높이 이상인 나무만 한 번 자른다는 점만 다르다. 다시 말해, 나누기를 하는게.. [Python] 1654번 랜선 자르기 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1654 1654번: 랜선 자르기 첫째 줄에는 오영식이 이미 가지고 있는 랜선의 개수 K, 그리고 필요한 랜선의 개수 N이 입력된다. K는 1이상 10,000이하의 정수이고, N은 1이상 1,000,000이하의 정수이다. 그리고 항상 K ≦ N 이다. 그 www.acmicpc.net 22/08/26 클래스 2 문제 중 안 푼 문제가 있길래 푼 문제이다. 전형적인 이분탐색 문제이고, 이분탐색 문제 특성상 범위나 종료 조건을 잘못 설정하면 맞왜틀을 하기 쉽기 때문에 나도 맞왜틀을 여러 번 했다. 당연히 이분탐색이 무엇인지 알고 있다는 전제 하에서 글이 쓰여있으므로, 풀이를 참고할 생각이 있다면 이분 탐색기법을 알아야 할 것이다. 문제 접근 방법: 기존.. 이전 1 2 3 다음