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시뮬레이션

(13)
[Python] 1417번 국회의원 선거 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1417 1417번: 국회의원 선거 첫째 줄에 후보의 수 N이 주어진다. 둘째 줄부터 차례대로 기호 1번을 찍으려고 하는 사람의 수, 기호 2번을 찍으려고 하는 수, 이렇게 총 N개의 줄에 걸쳐 입력이 들어온다. N은 50보다 작거나 같 www.acmicpc.net 22/09/17 실버 5를 순서대로 밀던 도중에 만난 문제로, 그다지 어렵지는 않았던 문제였다. 한번 틀리긴 했으나, 단순한 문제 읽고 구현하는 문제로, 쉽게 생각하면 되는 문제였다. 문제 접근 방식: 문제 주인공인 다솜이는 사람들을 매수해서 국회의원에 당선이 되게끔 하려 한다. 당선 조건은 다른 모든 후보들보다 많은 투표수를 가지는 것. 이때 매수하는 최소의 사람을 구하는 것이다. 나..
[Python] 3709번 레이저빔은 어디로 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3709 3709번: 레이저빔은 어디로 레이저박스라는 게임은 정사각형 모양의 n x n 보드에서 진행한다. (체스판을 상상하면 된다) 레이저박스의 임의의 칸마다 우향우 거울이라는 장치가 설치되어 있고, 마지막으로 레이저 한개가 www.acmicpc.net 22/09/10 그룹 연습에서 풀었던 문제로, 시뮬레이션 문제를 오랜만에 풀어보는 터라 당황스러웠지만 재미있기도 했다. 문제 접근 방식: 특별한 알고리즘은 없고, 문제를 말 그대로 구현했다. 근데 보드를 딱 N*N크기로 구현한 것이 아니라, 그보다 위아래 왼쪽 오른쪽으로 1칸씩 크게 만들었다. 그 이유는 보드에서 레이저를 쏜다고 했으니, 그 레이저를 놓을 공간이 필요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. 우향..
[Python] 1551번 수열의 변화 1551번: 수열의 변화 (acmicpc.net) 1551번: 수열의 변화 첫째 줄에 수열의 크기 N과 K가 주어진다. N은 2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이고, K는 0보다 크거나 같고, N-1보다 작거나 같은 정수이다. 둘째 줄에는 수열이 ‘,’로 구분되어 주어진다. 수열을 이루 www.acmicpc.net 22/09/03 마찬가지로 그룹 연습에서 풀었던 문제이다. 문제 자체는 매우 쉬운 편으로, 문제에서 주어진 상황을 반복문으로 그대로 구현하면 된다. 문제 접근 방식: 그대로 구현했다. 개인적으로 글을 쓸 필요도 없을 정도로, 딱히 작성할 내용이 없다. 왜 브론즈 1인지 이해가 되지 않는다. 아래는 내가 작성한 파이썬 코드이다. 더보기를 누르면 확인할 수 있다. 더보기 # 1551번 수열의 변화 N, ..
[Python] 4949번 균형잡힌 세상 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4949 4949번: 균형잡힌 세상 하나 또는 여러줄에 걸쳐서 문자열이 주어진다. 각 문자열은 영문 알파벳, 공백, 소괄호("( )") 대괄호("[ ]")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, 길이는 100글자보다 작거나 같다. 각 줄은 마침표(".")로 끝난다 www.acmicpc.net 22/08/28 마찬가지로 클래스 2++ 문제 중 안 푼 문제가 있길래 풀어본 문제이다. 전형적인 스택을 사용한 응용문제이며, 괄호 문자열에 대한 개념을 알고 있었으면 더 쉽게 푸는 문제이다. 접근 방법: 문제에서 주어진 대로 접근했다. 이제 괄호 스택을 하나 만드는데, '(' 나 '['가 나올 때마다 괄호 스택에 차곡차곡 그 괄호들을 넣어준다. 마찬가지로, ')' 나 ']'..
[Python] 1874번 스택 수열 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1874 1874번: 스택 수열 1부터 n까지에 수에 대해 차례로 [push, push, push, push, pop, pop, push, push, pop, push, push, pop, pop, pop, pop, pop] 연산을 수행하면 수열 [4, 3, 6, 8, 7, 5, 2, 1]을 얻을 수 있다. www.acmicpc.net 22/08/28 마찬가지로 클래스 2++에 해당하는 문제 중 풀지 않은 문제가 있어서 풀은 문제이다. 문제 풀이 자체는 그렇게 마구 어렵다거나 그러지는 않는데 문제 해석이 조금 난감했던 문제이다.(내 국어 능력이 부족한 탓 일 수도 있다.) 하지만, 여러 번 틀렸다거나 그러지는 않았고 한 번에 맞았다. 지금 되돌아 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