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32233
24/09/12
오일러 지표 + 스프라그 그런디 + 가우스 소거법의 세 가지 태그가 잘 맞물리는 좋은 문제이다.
맷코컵 검수했을 때의 기억을 되살려서 꼼꼼하게 해설을 적어보고자 한다.
문제 접근 방식:
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세가지 지식을 알고 있어야 한다.
1. 오일러 지표에 대한 지식
2. 스프라그-그런디 정리에 대한 지식
3. 가우스 소거법, 특히, 2진법 위에서의 가우스 소거법에 대한 지식.
먼저, 하나의 토러스 또는 구 위에서 간선을 교차하지 않도록 잇는 게임을 하나의 님 게임으로 치환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아야 한다.
이는 스프라그-그런디 정리 관련 문제를 많이 푼 사람이라면 쉽게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.
하나의 게임을 님버로 어떻게 치환할 것인가가 주된 요점이 될 것이다.
이 님버는 당연히 그래프의 평면성과 관련이 있을 것이다. 엄밀히 말하면, 토러스 위에서는 평면성이라고 말하기가 곤란하므로, 평면 위에서와 토러스 위에서 그래프 임베딩이 가능한 경우와 관련이 있을 것이다.
구는 오일러 지표 상 평면과 동일한 취급을 할 수 있고, 정점의 개수 $N$이 주어져 있을 때 그을 수 있는 최대 간선의 개수는 $3N-6$개이다.
https://en.wikipedia.org/wiki/Planar_graph#Maximal_planar_graphs
이는 오일러 지표를 통해 쉽게 유도할 수 있으며, 이러한 Planar graph를 Maximal planar graph라고 부른다.
물론 $N = 2$일때는 최대 $1$개까지 그을 수 있다.
토러스에서 정점의 개수 $N$이 주어져 있을 때 겹치지 않도록 그을 수 있는 최대 간선의 개수는 $3N$이다.(이러한 그래프를 Toroidal graph라고 부른다.)
https://mathworld.wolfram.com/ToroidalGraph.html
예외적으로 $2 \leq N \leq 7$인 경우, 그을 수 있는 최대 간선의 개수는 $N(N-1)/2$개이다.
근데 검색을 좀 하다보면, $3N$개의 간선을 가지고 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더 이상 간선을 겹치지 않도록 간선을 추가할 수 없는 그래프의 예시가 나온다.
이 그래프의 경우가 그런데, 사실 님버의 정의를 잘 생각해보면 이 그래프랑은 무관하게 $3N$이 님버라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.
왜냐하면 님버는 재귀적으로 이전 상태로 모두 갈 수 있냐, 즉, 이전 상태의 님버들의 mex값으로 정의되기 때문이다.
이 그래프를 만들 수도 있고, 최대 간선을 가지는 그래프의 상태도 만들 수 있는 어느 분기점 상태가 있을 것인데, 이 분기점 상태의 님버는 mex에 의해 최대 간선을 가지는 그래프의 상태 쪽의 님버로 따라갈 것이기 때문이다.
결론적으로, 하나의 토러스와 하나의 구에 대해서 정점이 주어졌을 때의 님버를 구할 수 있다.
다시 되돌아가서, 우리가 원하는 것은 후공이 처음 상태를 조작해서 선공의 님버의 XOR합이 $0$이 되게끔 만들 수 있냐를 판단하는 것이다.
먼저, 토러스에 대한 님버(이를 편의 상 토러스 님버라고 하겠다.)를 전부 XOR한 값이 $0$이라면, 구할 필요가 없다. 토러스를 조작하지 않고 그냥 게임을 진행하면 된다.
만약 토러스 님버를 전부 XOR한 값이 $0$이 아니라면, 몇 개의 토러스를 구로 바꾸어서 $0$이 되게끔 만들고 싶은 것이다.
편의 상, 토러스 님버를 $A_1, A_2, \dots, A_n$이라고 하고, 구 님버를 $B_1, B_2, \dots, B_n$이라고 하자.
그리고 토러스 님버를 모두 XOR한 값을 $S$라고 하자.
만약 몇 개의 토러스를 골라서 구로 바꿔서 $0$이 되게 만들 수 있다고 해보자. 그리고 그 토러스의 인덱스의 집합을 $K$라고 하자.
그러면 XOR의 성질에 의해 다음이 성립한다.
$$A_1 \oplus A_2 \oplus \cdots \oplus A_n \bigoplus_{i \in K} (A_i \oplus B_i) = S \oplus \bigoplus_{i \in K} (A_i \oplus B_i) = 0$$
편의 상 $C_i = A_i \oplus B_i$라고 한다면, 다음과 같은 문제로 재정의 할 수 있다.
$C_i$들 중 일부분을 선택하여 모두 XOR한 값이 $S$가 되게 끔 만들 수 있냐?
이는 이진법 위에서의 가우스 소거법을 적용하면 된다.
이진법 위에서는 XOR이 덧셈의 역할을 하므로, $C_i$를 선택을 하냐 안하냐를 $0$과 $1$로 표현하여 해당하는 벡터를 구하면 된다.
비슷한 이야기지만, 나의 경우 XOR basis의 개념을 사용하여 가우스 소거법을 조금 돌아가서 구현했다.
https://usaco.guide/adv/xor-basis?lang=cpp
$C_i$들을 만들 수 있는 Basis를 구성하고, $j$번째 Basis가 $C_i$들 중에서 어떤 것을 XOR해야 구성할 수 있는지도 구한다.
이후 $S$를 Basis로 표현할 수 있는 지 판단한다.
만약 표현할 수 있다면, Basis로 표현한다. 이전에 $j$번째 basis를 $C_i$들 중 어떤 것을 XOR해야 구성할 수 있는지를 구해놨으므로, 이를 통해 $C_i$를 복원한다.
코드는 생략.
'알고리즘 > 백준 문제 풀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Python] 32229번 B끼B끼 A끼A끼 수열 찾기 (0) | 2024.09.20 |
---|---|
[Python] 32232번 엉엉이의 저주 탈출 (0) | 2024.09.18 |
[Python] 32213번 래빗 홀 (1) | 2024.09.11 |
[Python] 32230번 현대모비스 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 (2) | 2024.09.10 |
[Python] 1199번 오일러 회로 (3) | 2024.09.02 |